
Happy Present Meet
내 노래는 내가 꾸민다 - 장기호의 코드 스터디 (CD1장포함)
~ 목 차 ~
<B>Chapter 1. 멜로디에 코드 붙이기</B> 
* 처음 코드 붙이기 
1 멜로디의 스케일 성분을 파악하자 
2 멜로디를 타겟 노트와 어프로치 노트로 구별하자 
3 멜로디에 다이아토닉 코드의 기능을 부여하자 
4 같은 기능의 코드들로 바꾸거나 첨가하여 변화를 주자 
5 코드의 기능을 바꾸어보자 
<B>Chapter 2. 조성의 확장 </B>
1 다른 조성의 코드를 이용해보자 
2 멜로디에 적용 가능한 모든 코드를 찾아보자 
3 멜로디 리듬에 따라 코드를 붙여보자 
<B>Chapter 3.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들</B> 
1 하모닉 리듬(Harmonic Rhythm) 
2 리듬 강세(Rhythm Stress) 
3 패싱(Passing) 코드와 어프로치(Approach) 코드 
4 종지형 코드 패턴(Cadential Chord Pattern) 
<B>Chapter 4. 코드의 재구성 I </B>
* 리하모니제이션(Reharmonization)의 정의 
* 화성의 재구성 
1 다이아토닉 대리코드의 사용 
2 메이저 키에서 IVmaj7의 적용 
3 도미넌트 7th 코드의 확장 
4 기존 코드의 성분 바꾸기 
5 패싱 코드와 어프로치 코드 적용 
6 세컨더리 도미넌트 코드 적용 
7 도미넌트 7th 코드의 대리코드 (1) 
8 V7과 subV7, 그리고 확장된 IIm7의 혼합과 적용 
9 어프로치 코드의 확장 
10 도미넌트 7th 코드의 대리코드 (2) 
11 디미니쉬드 코드의 대리코드 
12 모달 인터체인지 코드의 사용 
13 콘스탄트 스트럭처(Constant Structure) 
14 베이스 라인 리하모니제이션 
<B>Chapter 5. 코드의 재구성 II </B>
1 5도권을 이용한 코드의 확장 
2 서로 조성적 관계가 없는 II-V 만들기 
3 II-V 또는 연속된 두 코드 사이에 다른 코드 넣기 
4 다이아토닉 어프로치 코드의 확장 
5 하이브리드 코드로 만들기 
6 어프로치 코드의 이해와 적용 
7 어퍼 스트럭처 트라이어드(Upper Structure Triad) 
8 모드 바꾸기(Modal Reharmonization) 
<B>Chapter 6. 리하모니제이션의 실례 </B>
#1. 나의 믿음 약할 때에 
#2.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 
#3. 나의 기쁨 나의 소망되시며 
#4. 예수는 나의 힘이요 
#5. Amazing Grace 
#6. 삼푸의 요정 
#7. 주의 친절한 팔에 안기세 
저자 장기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