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Happy Present Meet
화성이론과 분석
- 리만 포스트리만 기능이론 다시 읽기 -
~ 목 차 ~
프롤로그-리만을 ‘다시 읽다’ 
<b> I부. 들어가면서  </b>
1 화성이론과 분석에 대하여 
1. 화성이론과 분석 
2. 리만 이전의 주요 화성이론들 
2 후고 리만에 대하여 
1. 리만의 생애 
2. 리만의 이론 전반에 대한 엇갈리는 평가 
<b>II부. 후고 리만 화성이론 다시 읽기 </b>
3 화성의 ‘기능’ 
1. 화성의 기능(Funktion) 또는 기능의 표기ㆍ명명(Funktionsbezeichnung)이란ㆍ 
2. 특별한 성격의 불협화(Charakteristische Dissonanzen) 
3. 표면적 협화(Scheinkonsonanzen) 
4. 반음계적 화성 및 전조 
4 이원론적 화성개념 
1. 리만 『음악사전』의 ‘화성적 이원론’ 
2. 이원론적 화성개념의 역사 
3. 상배음렬(Obertonreihe)과 하배음렬(Untertonreihe) 
4. 「화성적 이원론의 문제」(1905) 
5. 「‘음상(音象)에 관한 이론’에 대하여」(1914-1915) 
5 리만 화성 용어와 반음계적 확장성 
1. 화성 용어와 표기 방식 
2. 반음계적 확장성 
6 리만 분석 다시 읽기 
1. ‘기능과 기능의 논리적 연결’을 드러내려는 의도 
2. 이원론적 관점에 의한 분석 
3. 비일관적인 단일조성적(monotonal) 관점 
<b>III부. 포스트리만 기능이론 다시 읽기 </b>
7 주요 이론가들 
8 리만의 유산 
1. 화음을 ‘세 가지 기능’으로 보는 관점 
2. 특별한 성격의 불협화 
3. ‘숫자’의 표기상 의미 
9 리만으로부터의 발전 또는 변화 
1. 이원론→일원론적 토대로 장럽湺ㆍ음의 해석변화 
2. 기호의 합리화럽秉廢ㆍ를 통한 반음계적 화성해석의 확장 
10 포스트리만 분석 다시 읽기 
1. 포스트리만 분석의 강점 
2. 포스트리만 분석의 한계 
참고문헌 
찾아보기
저자 서정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