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Happy Present Meet
오페라 속의 미학 1 (몬테베르디에서 진은숙까지)
- 목 차 -
편집자 서문 
1장 미덕을 조소하는 욕망의 승리: 17세기 베네치아 카니발과 초창기 오페라 
몬테베르디의 〈포페아의 대관〉 / 이용숙 
1. 카니발의 목표: 에로스의 웃음과 성취 
2. 죽음의 시대, 향락 추구의 합리화 
3. 극장 흥행을 고려한 평민 등장인문들의 부상 
2장 영원한 지혜에 대한 갈망 
모차르트의 〈마술피리〉 / 이성률 
1. 오페라 〈마술피리〉 대본에 대한 논쟁 
2. 오페라 〈마술피리〉에 나타난 다양한 소재 
3. 거짓과 진실 그리고 지혜에 대한 갈망 
3장 숭고미의 음악적 표현 
도니제티의 〈마리아 스튜아르다〉 / 이지연 
1. 역사적 인물로서의 매리 여왕 
2. 실러와 도니제티 작품 속 매리 여왕 
3. 오페라의 드라마적 측면에 반영된 숭고미 
4. 숭고의 음악적 표현 
4장 물결치는 사랑과 바그너식 열반 
바그너의 〈트리스탄과 이졸데〉 / 김원철 
1. 물의 메타포와 물결치는 사랑 
2. 죽음과 사랑 
3. ‘화성의 바다’로 표현된 사랑 
5장 팜므파탈의 등장? 사회적 약자의 부상! 
쇼스타코비치의 〈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〉 / 우혜언 
1. 레스코프 vs. 쇼스타코비치 
2. ‘여성-모티브’ 카테리나 
3. 쇼스타코비치 음악에 나타난 풍자의 미학 
4. 카테리나의 삶을 무대와 현실로 
6장 김유정의 아이러니적인 해학과 조우한 오페라 
이건용의 희극오페라 〈봄봄〉 / 김미영 
1. ‘현실에 대한 통찰을 이끌어내는 김유정의 아이러니적인 해학 
2. 오페라로 재창조된 김유정의 해학 
7장 테크놀로지에 실린 목소리 
스티브 라이히의 〈세 개의 목소리〉 / 이민희 
1. ‘다큐멘터리 디지털 비디오’ 오페라 
2. 소재로서의 테크놀로지 
3. 매개로서의 테크놀로지 
4. 시학적 관점에서의 테크놀로지 
8장 근대적 자아의 존재론적 여정 
진은숙의 〈이상한 나라의 앨리스〉 / 원유선 
1. 꿈Ⅰ: 꿈의 공간과 앨리스의 존재론적 회의 
2. 앨리스의 목적 없는 여정 
3. 이상한 나라에서 나타나는 전복의 미학 
4. 꿈Ⅱ: 앨리스의 존재적 지평 확장 
9장 판소리와 서사극, 낯섦과 익숙함의 변증법 
아힘 프라이어의 〈수궁가〉 / 배묘정 
1. 왜 판소리 오페라인가? 
2. 판소리 〈수궁가〉와 서사극 기법 
3. 판소리와 서사극의 만남과 변주
저자 음악미학연구회